-
-
-
-
서민들을 위한 버팀목 대출(임차보증금 대출 자금), 월세 대출, 디딤돌(구입자금) 대출 금리가 각각 0.2%포인트, 0.5%포인트, 0.3%포인트 내린다. 임차보증금 반환보증 보증료가 25% 가까이 감면돼 보증 수수료가 절감되고, LH 임대주택 거주 서민들의 월세 부담도 줄어든다. 국토교통부는 기획재정부, 금융위원회 등 관계기관 협의를 거쳐 이같은 내용의 '서민 주거비 부담 완화 방안'을 마련했다. 이번 방안은 지난달 기준금리 인하에 따른 시중금리 하락효과 등을 반영해 서민의 주거비 부담을 완화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별도로 범정부 차원의 '서민 금융지원 종합대책'은 별도로 발표될 예정이다. 주요 내용은 임차보증금 반환보증 지원강화, 임차보증금·월세·구입자금 대출금리 인하, LH 전세월
원금호 기자
2015.04.06 16:25
-
-
-
미국에서는 집을 살 때 필요한 돈의 대부분을 금융기관으로부터 빌려서 충당한다. 예컨대, 사는 비용이 1억원이면 개인은 1천만원만 내고 나머지 9천만원은 집을 담보로 빌린 후 20년 또는 30년간에 걸쳐 갚는 것이다. 그러나 금융기관은 이 같은 대출을 한꺼번에 해주고 돈은 분할해 받게 되므로 유동성이 부족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금융기관은 주택대출 채권(債權)을 담보로 만기가 20년 또는 30년이나 되는 채권(債券)을 발행해 중개기관에 파는데 이 채권을 주택저당증권(MBS: Mortgage Backed Securities) 이라고 한다. 주택만을 대상으로 한다는 측면에서 부동산을 포함한 모든 자산을 근거로 하는 자산담보부증권(ABS : Asset-Backed Security)과는 다르다. 일반적으로
자료제공 :기획재정부
2015.04.06 12:51
-
-
캐논코리아 비즈니스 솔루션(CKBS, 대표 김천주)이 지문인식 시스템 상품 2종을 출시한다고 6일 밝혔다. 롯데그룹과 캐논그룹의 합작회사인 프린팅 솔루션 전문업체인 CKBS가 이번에 선보인 솔루션 상품 '핑거프린트 시스템 550'과 '핑거프린트 시스템 750'은 접촉발광식 지문센서(LE)를 적용해 보안성을 높였으며 지문이 접촉하는 순간 발광하는 빛으로 지문을 인식해 지문 복제가 불가능하다. 또한 진피인증 방식을 사용해 훼손된 지문이나 건조한 지문도 인식할 수 있으며 모세혈관과 신경도 구별이 가능하다. 모조지문, 위조지문 판별도 가능해 높은 보안성을 갖췄다. 핑거프린트 시스템 550은 키패드를 이용해 2.8인치 TFT 액정표시장치(LCD) 화면의 매뉴얼을 다룰 수 있으며, 핑거프린터 시스템 7
신한철 기자
2015.04.06 11:54
-
-
-
롯데그룹이 7일부터 2015년도 상반기 신입사원 채용을 진행한다. 채용 인원은 신입 공채 800명과 하계 인턴 400명 등 1200명 규모다. 롯데는 올해 고졸 및 전문대졸 사원과 경력사원을 포함해 총 1만5800명을 신규 채용한다. 이는 지난해 채용한 1만5650명보다 소폭 늘어난 인원이다. 롯데는 이번 상반기 채용부터 NCS(국가직무능력 표준) 기반의 능력 중심 채용을 강화한다. 입사지원서에서 사진,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계정 등 기본사항 뿐만 아니라 IT 활용능력, 수상경력, 기타활동(동아리 활동, 어학연수 등)과 같이 직무능력과 무관한 항목들을 모두 삭제한다. 또 모집 회사 및 직무의 특성상 필요한 경우를 제외하고 어학 점수와 자격증 제출도 요구하지 않을 방침이다. 여성 인력 확대를 위
최명찬 기자
2015.04.06 10:16
-
-
-
-
-
-
-
-
기업의 위법행위에 대해 행정당국이 일도양단의 위법 판단을 하기 보다는 기업과 합의하여 시정방안을 마련하고 사건을 종결하는 제도이다. 공정거래법을 위반한 사업자가 소비자 피해구제 및 일반행위 중지에 대해 공정거래 당국과 합의하면 사건을 종결할 수 있는 제도로 미국 등에서 시행되고 있다. 이 제도가 도입되면 행정부는 조사비용 절감, 소비자는 신속한 피해구제, 사업자는 법적 소송에 따른 부담과 기업 이미지가 실추되는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경제법인공정거래법의 경우 일반 형사법과 달리 위법 판단이 어렵고 입증에 시간이 걸린다는 점에서 한층 실용적인 제도로 평가받는다. 우리나라에서는 지난 2006년 9월 정부가 기업환경개선대책을 발표하면서 동의명령제 도입 추진의사를 밝혔지만 법무부에서 형법체계와 상충된다는 이유
자료제공 :기획재정부
2015.04.06 08:57